생물 다양성과 분류
1. 지구 곳곳의 다양한 생물
지구에 살고 있는 생물의 종류는 얼나마 많을까?
우리 주면에는 개, 고양이, 참새, 나비, 소나무, 민들레 등 다양한 생물이 살고 있다. 또, 사막, 열대 우림, 습지, 강, 갯벌, 바다, 극지방 등 다양한 장소에서 많은 종류의 생물이 살고 있따. 세계 생물 다양성 정보 기구에 따르면 2017년 현재까지 발견된 생물의 종류는 약 172만 종이고, 새로운 종이 계속 발견되고 있따. 과학자들은 지구에 살고 있는 생물의 종 수를 1000만 종 이상으로 예상한다.
같은 종류의 생물끼리는 특징이 같을까?
생물은 종류가 다르면 몸의 크기, 모양, 색깔 등이 다르다.
바지락을 관찰해 보면 껍데기의 무늬와 색깔이 조금씩 다르다. 또, 얼룩말끼리도 털 무늬가 조금씩 다르고, 떡갈나무끼리도 잎의 모양과 크기가 조금씩 다른 특징이 나타나는데, 이를 변이라고 한다.
생물은 어떻게 다양해졌을까?
생물은 빛, 온도, 물, 먹이 등의 환경에 적응하여 살아간다. 생물의 변이와 생물이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은 오늘날 생물이 다양해진 것과 관계가 있다.
갈라파고스제도에는 갈라파고스땅거북이 살고 있는데, 목이 짧은 종류도 있고, 목이 긴 종류도 있다. 이 거북들은 환경이 다른 섬에서 떨어져 살고 있으며, 먹이는 풀, 선인장, 과일 등 섬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갈라파고스 땅거북은 원래 목이 짧은 종류가 대부분이었다. 그런데 오랜 세월 동안 먹이와 같은 환경 변화에 적응한 결과 오늘날과 같이 목이 긴 종류가 나타났다.
한 종류의 생물 무리에는 다양한 변이가 있으며, 그 무리에서 환경에 알맞은 변이를 지닌 생물이 더 많이 살아남아 자손을 남긴다. 이 과정이 매우 오랜 세월 동안 반복되면 원래의 생물과 특징이 다른 생물이 나타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물의 변이와 생물이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은 오늘날 생물이 다양해진 주요 원인이 된다. 어떤지역에 살고 있는 생물의 다양한 정도를 생물 다양성이라고 한다.
2. 생물을 분류하는 방법
생물을 분류하는 기준은 무엇일까?
차림표를 알아보기 쉽게 만들려면 먼저 기준을 정하고, 기준에 따라 공통점을 지닌 음식끼리 나누어 정리해야 한다. 공통점과 차이점에 따라 무리지어 보는 것을 분류라고 하는데, 지구의 다양한 생물도 기준을 정하여 분류할 수 있다. 생물을 분류하면 생물을 체계적으로 연구할 수 있어 생물 다양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생물을 분류할 때에는 생물 고유의 특징을 기준으로 정하거나 사람의 편의에 따라 기준을 정할 수 있다. 그런데 생물을 사람의 편의에 따라 사람이 키울 수 있는 것, 사람이 먹을 수 있는 것 등을 기준으로 정하여 분류하면 분류하는 사람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그래서 몸의 구조, 광합성 여부, 번식 방법, 유전자 등 생물 고유의 특징을 기준으로 정하여 생물을 분류한다.
생물 분류는 어떤 과정으로 이루어질까?
생물을 분류할 때에는 먼저 생물 고유의 특징을 관찰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고, 이를 바탕으로 분류 기준을 정한다. 그 후 분류 기준에 따라 공통점을 지닌 생물끼리 무리를 지어 나누면 된다.
3. 생물을 분류하는 체계
생물을 분류하는 단위는 무엇일까?
삵, 고양이, 카라칼은 얼굴이 비슷하게 생겼지만 짝짓기하여 번식이 가능한 자손을 낳지 못하기 때문에 같은 종으로 분류하지 않는다. 종은 생물 중 자연 상태에서 짝짓기하여 번식이 가능한 자손을 낳을 수 있는 생물 무리를 뜻하며, 생물을 분류하는 기본 단위이다.
각각의 종은 특징이 서로 다르지만 어떤 종끼리는 특징이 비슷하다. 비슷한 특징을 지닌 종끼리 묶어서 더 큰 단위인 속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생물을 종에서부터 점차 큰 단위로 묶으면 계까지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고양이종은 다른 생물들과 함께 점차 큰 단위로 묶어 동물계로 분류한다.
생물의 분류 체계는 어떻게 이루어져 있을까?
18세기에 스웨덴의 린네는 생물을 생김새에 따라 동물계와 식물계로 분류하였다. 이후 과학이 발달하면서 생물의 분류 체계는 계속 변해 왔다. 지구의 다양한 생물은 동물계, 식물계, 균계, 원생생물계, 원핵생물계의 5가지 계로 분류할 수 있다.
동물계
동물계는 핵이 있는 세포로 이루어진 생물 중 몸이 여러 개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고, 운동성이 있으며, 다른 생물을 먹이로 삼아 양분을 얻는 생물 무리이다. 동물계에 속하는 생물은 대부분 몸에 기관이 발달하였고, 육지 또는 물속에서 생활한다.
식물계
식물계는 핵이 있는 세포로 이루어진 생물 중 몸이 여러 개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고, 광합성을 할 수 있어 양분을 스스로 만드는 생물 무리이다. 식물계에 속하는 생물은 세포에 세포벽이 있고, 대부분 뿌리, 줄기, 잎이 발달하였으며, 주로 육지에서 생활한다.
균계
균계는 핵이 있는 세포로 이루어진 생물 중 버섯이나 곰팡이 등과 같이 운동성이 없고, 양분을 스스로 만들 수 없는 생물 무리이다. 균계에 속하는 생물은 대부분 죽은 생물의 몸을 분해하여 양분을 얻는다. 버섯이나 곰팡이의 몸은 실 모양의 균사가 얽힌 구조이다. 균사는 여러 개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고, 균사를 이루는 세포에는 세포벽이 있다.
원생생물계
원생생물계는 핵이 있는 세포로 이루어진 생물 중 동물계, 식물계, 균계에 속하지 않는 나머지 생물을 모아 놓은 무리이다. 원생생물계에 속하는 생물은 애부분 몸이 한개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지만 몸이 여러 개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는 것도 있다. 웡생생물계에 속하는 생물은 대부분 물속에서 생활한다.
원핵생물계
원핵생물계는 세포에 핵이 없는 생물 무리로, 세포에 세포벽이 있다. 원핵생물계에 속하는 생물은 몸이 한 개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는데, 여러 개의 세포가 모여 하나의 덩어리를 이루어 살아가기도 한다. 원핵생물은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할 수 있다.